wp-setup
Nginx는 뭘까? 한마디로 요약하면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. 저번에 서버 컴퓨터에 리눅스 우분투 (Linux ubuntu)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했다. (설치하는 방법을 보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!) 이제 그곳에 웹 서버들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...
한마디로 요약하면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.
저번에 서버 컴퓨터에 리눅스 우분투 (Linux ubuntu)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했다. (설치하는 방법을 보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!)
이제 그곳에 웹 서버들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는 거다. 어려운 전문용어와 설명들은 일단 이곳에서는 언급하지 않겠다. 기본적으로 “아 이런 개념이 있구나! 이것을 설치해야 홈페이지가 작동되겠구나!” 하는 정도로만 이해하자.
웹 서버 프로그램이라는 것은 동일하다. 하지만 워드프레스를 직접 설치하려고 마음 먹은 사람들은 이 둘중에 뭘 해야 좋을지 결정하지 못하고 맴도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.
결론적으로 나는 엔진x를 선택했다.
최대한 쉽게 차이점을 적어봤다. (비동기식, 동기식, 스레드 이런 전문용어는 언급하지 않았다. 들으면 더 헷갈리기 때문이다.)
우선 위에 보면 왠지 엔진x가 더 빠르고 좋아 보인다. 그렇다.
하지만 우리가 엄청난 트래픽이 생기지 않고서야 아파치와 엔진x의 차이는 체감상 느낄 수 없다. 그래서 아파치를 선택해도 된다. 그런데 나는 왜 엔진x를 선택했냐면 새로운 걸 써보고 싶었다. (그 이유가 정말 전부다)
여기서 한 가지 알아야 할 점은 엔진x는 .htaccess 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.
워드프레스를 다 설치하고 나서 시스템 파일을 만져야 할 상황에서 .htaccess 파일을 봐야 하는데 엔진x는 이 파일 자체가 없다. 다른 파일에 다른 언어로 들어가 있어서 방법을 우회해야 한다. 또는 아예 사용하지 못한다. 이런 부분이 걱정된다면 아파치를 설치해도 문제는 없다.
자 이제 엔진x를 하기로 결정했다면 아래 방법만 그대로 따라오면 된다.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13 우분투 서버 접속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WP_sv_set_3.png)
sudo apt update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14 ubuntu 앱 업데이트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.jpg)
sudo apt-get install nginx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15 엔진x 설치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1.jpg)
sudo ufw app list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16 현재 사용가능한 방화벽 확인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2.jpg)
sudo ufw allow 'Nginx full'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17 엔진xfull 열어주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3.jpg)
sudo ufw status
![]()
sudo ufw enable
![]()
sudo ufw status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20 활성화 후 상태 다시보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7.jpg)
sudo systemctl status nginx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21 엔진x 시스템 상태 확인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8.jpg)
sudo ufw allow 'openSSH'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22 openssh 활성화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9.jpg)
sudo ufw status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23 엔진x full, openSSH 확인하기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10.jpg)
![[워드프레스 설치 4] Nginx로 Ubuntu22.04에 설치하기 24 엔진x 설치 완료 화면](https://ilibert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9/nginx_set_1-11.jpg)
아까 설치 과정에서 ufw app list에서 사용가능한 서비스 4가지(엔진x full, 엔진x http, 엔진x https, openSSH)가 있었다.
요즘은 네이버 아닌 다른 홈페이지에 들어가 주소를 보게 되면 맨 앞에 자물쇠 모양이 있다. 그건 https라는 것이다.
그래서 전체 주소를 보게 되면 https://www.iliberta.com 이런 식으로 되어있는데 위의 4가지 중 http는 현재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다. 만약 http를 쓰는 곳이 있다면 홈페이지로 바로 접속되지 “신뢰할 수 없는 홈페이지”라며 뜨게 된다.
그렇다 하더라도 http, https 두 개를 전부 열어줘야 하는데 엔진 x full은 바로 그 두 가지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만 활성화해주면 되는 것이다.
| 엔진x full = 엔진x http + 엔진x https |
|---|
정말 생 초짜도 아예 웹에 관해 모르던 사람도 여기까지 설치하고 나면 “아~ 웹이 이렇게 돌아가는 거구나”라는 뭔가의 감은 생기게 될 거다.
항상 처음이 어렵지 막상 하고 나면 그렇게 별것 아니다. 검은색 화면에 흰 글씨로 한국어도 아닌 영어로 죽죽 내려가는 걸 보면 겁부터 먹게 되는 건 어쩔 수 없지만 조금만 보면 그냥 영단어일 뿐이다.
애초에 영어가 전 세계 공용어라 영어로 개발되었다 뿐이지 한국말이 세계 공용어였다면 모든 명령어가 한글이었을 것이다.
그게 맞기도 하고 그렇게 생각하면 뭐 사실 겁먹었던 거에 비해 정말 별것 없다. 홈페이지에 내 고정 ip를 입력하고 들어갔을 때 웰컴 투 엔진 x가 뜨는 화면을 보고 있으면 얼마나 나 자신이 뿌듯해지면 앞으로의 설치도 그다지 어렵게 생각되지 않으리라 본다.
누구에게나 처음은 있다. 하지만 우리는 모두 할 수 있다.
오늘 서비스 활성화했던 것을 이어서 https를 도메인에 붙여보는 작업을 해볼 거다.
처음에 나는 워드프레스까지 모두 설치 후 맨 마지막에 이걸 하다가 서버가 잘못돼서 싹 지우고 처음부터 다시 했던 경험이 있다. 설치 순서 과정도 굉장히 중요한 것 같다. 내가 겪었던 시행착오를 토대로 해서 실패하지 않고 가장 쉽게 설치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있다.
혹시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에서 질문하면 된다!